주식

[기업분석] 현대자동차 "현재와 미래 모두 챙기기"

jw103203 2024. 2. 20. 11:58
728x90

현대자동차는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대해 제조서비스업을 영위하는 기업이다.

 

목차

- 자동차 산업

- 현대자동차의 사업내용

- 재무제표 분석

- 관련 뉴스

 

자동차 산업

모빌리티는 일상생활에 기초적인 부분이자 혁신과 변화무쌍한 분야이다. 오늘날 모빌리티 산업은 유동적이다.

스마트 모빌리티는 발전된 기술 그리고 디지털 솔루션을 도입했다.(전기차,자동화 등등)

하지만 대부분의 사업과 마찬가지로 현재 시장 둔화에 직면하고 있다.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투자는 지난 10년간 성장했지만 지난 22-23년에는 그 속도가 느려졌고 다른 산업과 비슷해졌다.)

맥킨지가 2023년 12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모빌리티 산업에 5가지 메가 트렌드가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1. Climate change: 기후 변화에 대한 전지구적 인식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이는 사람들이 새로운 지속가능한 운송수단을 찾도록 했다. 기업들과 투자자들은 순제로효과(net zero effect)를 지지하는 것에 집중했는데 이는 즉 greenhouse 가스(GHG)를 생산하는 것과 같은 양으로 이를 줄이는 단계를 이야기한다. 이 순제로효과(net zero effect)는 탄소 중립, 생산 과정에서의 no GHG(Green House Gases) 그리고 지속가능한 연료의 사용을 포함한다. 또한 맥킨지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환경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행동하고자 한다고 했다.

맥킨지 설문조사
81%가 제로 탄소 자동차가 조금 더 비싸더라도 구매할 의사가 있다.

2.Electrification:Electric Vehicles(EVs)는 주된 방해요소이다. EVs는 실행가능한 모빌리티 옵션으로 인식되었고 EV는 많은 지역에서 다른 화석연료 모빌리티에 대한 규제에 의해 인기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EU와 USA는 EV의 비율이 2030년까지 50%가 되도록 규제안을 냈다.) 또 맥킨지는 세계 전기차 수요는 2021년부터 2030년까지 6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때 EV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fuel cell 그리고 plug-in hybrid EV 등을 의미한다.

EV의 판매 예측 by 맥킨지
EV의 판매 예측 by 맥킨지

3.AVs: Autonomous mobility(자율 주행 모빌리티-로봇택시, 개인 자율주행차, 드론, 장거리 화물차)는 고객에게 새로운 수준의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이나믹한 분야이다. 그와 동시에 현존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불확실성과 방해요소가 될 것이다. 맥킨지에서는 자율주행을 4단계로 설명하는데 (L1-운전 어시스턴트, L2-부분 운전 자동화, L3-조건부 운전 자동화 그리고 L4-높은 운전 자동화) 현재 자율주행 단계를 L2+와 L3로 봤고 다음으로 L3와 L4 사이의 단계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했다. MCFM에 따르면 L4(완전 자율 주행)시스템으로 인한 수익은 2030년 전체 AV 시장의 6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래 이미지는 2022년부터 2035년까지 AVs 분야에서 각 자율주행 단계 별 매출을 예측한 것이다.

2022,2025,2030,2035년 각 자율주행 단계별 AV 산업에서 매출 퍼센트

4.Shared transportation: 공유 교통에서의 혁신은 교통 및 운송의 새로운 형태로서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이 될 것이다.

공유 교통에는 mini- and micro-mobility(전동휠,전기 스쿠터 등), hailed mobility(우버, 카카오택시 등), last mile delivery(차로 가기 애매한 거리를 이동해주는 교통수단), car sharing(카쉐어링), shared robotaxis(공유 로봇택시) 그리고 urban aerial mobility(하늘을 나는 택시, 공중에서 이동수단)이 있다. 아래 이미지에서 맥킨지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공유 운송수단에 대한 누적 투자액을 나타냈는데 우버와 같은 E-hailing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Robo-taxi and shuttle가 차지했다.

공유 교통 수단의 분야 별 2010년부터 2023년까지 투자 누적액

 이후에 2030년까지 각 분야 별 수익을 예측했는데 그 결과는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Hailed mobility가 압도적으로 높고 그 다음으로 Micromobility가 왔다.

공유 차량의 분야 별 수익 예측

5.Software over hardware: 모빌리티의 소프트웨어가 모든 5개 트렌드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내년부터 자동차의 가치에 1/3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AVs(자율 운전) 분야에서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를 통제하고 조종하는 것을 "software-defined vehicle"이라고 하는데 이 트렌드는 계속해서 유지될 전망이다.

728x90

현대자동차의 사업 내용

(제조서비스업)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중,장기 전략으로 품질 기반 SMART가치를 제공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의 전환을 목표로 3대 사업구조 및 전략방향을 수립했다. 해당 전략 방향의 첫번째는 '스마트 모빌리티 디바이스'로 완성차 사업 경쟁력 제고 및 전동화 선도를 통해 수익성과 판매 간의 균형 있는 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두번째는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로 차량 판매를 지원하고 사업 역량을 확보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H2 솔루션'으로 수소 생태계 및 이니셔티브 확보를 통해 연료전지 기반 수소 시장을 선점하고자 한다. 차량부문에서 각 차량 부문 별 매출은 RV, 승용, 소형 상용, 대형상용 순으로 높았다.

현대자동차 차량 부문 별 매출표

(금융업) 현대자동차의 연결종속회사 중 대표적인 금융기업은 현대캐피탈과 현대카드인데 해당 분야에서 매출은 전체 매출의 14%정도 차지한다.

현대자동차 금융업 매출표

 

재무제표 분석

현대자동차의 연결손익계산서를 보면 3분기 매출은 41조 2023년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121조인데 이중 차량부문에서 매출은 약 96조이다. 이는 작년 동기 매출 기준 10% 증가 누적 매출 기준 대략 17% 증가 차량부문 기준 7.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3년 3분기 기준 3조8천억 23년 3분기 누적 11조인데 이는 작년 동기 기준 120%상승 작년 동기 누적 기준 80% 상승했다.

현대자동차 포괄손익계산서

 

관련 뉴스

 

- 놀라운 매출 및 영업이익 성장과 기존의 높은 배당률로 인해 23년 배당수익률은 4.5%수준; 금리 인하가 예측되는 가운데 더 높은 가치 평가를 매겨지게 될 것...by 금융사 리포트 요

- 현대차가 수소연료전지 직접 만든다.. 현대모비스 국내 수소연료전지 사업 인수... by 파이낸셜뉴스

- 페트병 녹여 98% 수소로 전환...by 이찬우 연구원, 이병훈 조교

- 현대차 글로벌 톱5 자동차 판매량에서 3위 기록 4위와 격차 더 벌려...by 동아일보

->1위 도요타, 2위 폭스바겐 3위 현대 4위 르노 5위 GM

 

****본 게시글은 투자를 권하거나 유도하는 글이 아닙니다.****

728x90